들리지 않는 남자(2013)
<들리지 않는 남자>는 "누구나 듣고 싶지 않은 소리가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직장 상사의 이유 없는 잔소리, 출근길 지하철의 소음, 여름 밤 매미의 울음. 나는 자주 '차라리 소리가 안 들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면, 적어도 그 소리들로 인한 이유 모를 내 안의 불안감에서 벗어날 수 있을 테니까. 그런데, 만약 이 가정이 현실이 된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더 자유로워질까? 아니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 대신, 평소에 듣던 소리들을 상상하며 더욱 고통스럽게 살아가게 될까? 주인공은 어느 날, 별 다른 이유 없이 세상의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다. 처음, 그는 당황하지만 당장의 현실을 살아가기 위해 병원 대신 회사로 출근한다. 아마도 일시적인 것이라 생각했으리라. 에피소드가 이어지며 그가 경험하는 일련의 사건들은 결국 그의 삶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그가 살아온 세계는 그에게 너무나 냉정하고 무관심하다. 자기가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더. 직장에서, 사회에서, 심지어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도 그는 그저 '이봐' 혹은 '저기요'라는 이름 없는 소리로 살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그 소리들이 더 이상 들리지 않게 되면서, 그는 점점 더 허무에 빠져든다. 이 작품은 바로 그 허무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여정을 담고 있다. 여덟 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이 이야기는 현대인의 삭막함과 소외감을 철저하게 그리고 있다. '죽음'이라는 존재가 주인공 앞에 등장하면서, 그는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게 되고, 그 허무를 맞이하게 된다. 죽음은 비극적이지만 동시에 매혹적이다. 그녀는 주인공에게 삶의 끝을 초대하는 듯하면서도, 그 끝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만든다. 정혜라는 인물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천적 청각 장애인인 정혜는 '소리의 부재'를 이미 알고 살아가는 인물이다. 그녀는 소리로 의사소통하지 않지만, 주인공에게 말 없는 소통의 다른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동안, 주인공은 소리의 부재가 단지 결핍이 아니며, 그 안에서도 존재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소리의 부재라는 비현실적인 요소 속에서 삶의 의미와 허무를 탐구한다. 과연 우리가 원하는 것,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들은 진짜 우리가 들을 필요가 있었던 것들일까? 아니면, 우리가 그런 소리를 들으면서 살아가야만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The Man Who Couldn't Hear(2013)
"The Man Who Couldn't Hear" starts with the idea that "everyone has sounds they don't want to hear." The nagging of a boss, the noise of the subway during the morning commute, the cicada's cry on a summer night. I often find myself thinking, "I wish I couldn’t hear these sounds." If I couldn’t hear them, at least I could escape the inexplicable anxiety they stir inside me. But, what if this assumption became reality? Would we become freer? Or, instead of hearing the sounds, would we live more painfully, imagining them and suffering even more? One day, the protagonist suddenly loses the ability to hear the world around him. At first, he is confused, but believing it to be temporary, he heads to work instead of a hospital. As the episodes unfold, the series of events he experiences forces him to reflect on his life. The world he has lived in is far colder and more indifferent than he thought. In his workplace, in society, even in his own existence, he has been living as an anonymous sound—just a "hey" or a "you there?" And as those sounds cease to reach him, he begins to fall deeper into despair. This story is a journey to find meaning in the midst of that despair. Composed of eight episodes, it thoroughly explores the isolation and alienation of modern life. The presence of death appears before the protagonist, urging him to reflect on his life and face the futility of it. Death is tragic, yet alluring. She invites him to the end, forcing him to realize that there is no escaping it. Another important character is Jeong Hye, a woman who was born deaf. She has already lived with the absence of sound and shows the protagonist another way to communicate, one that doesn’t rely on sound. As they spend time together, the protagonist learns that the absence of sound is not merely a lack; within that silence, something else exists. This story explores the meaning of life and the futility of it through the surreal element of silence. Are the things we want, the things we fear, truly sounds we needed to hear? Or have we only lived with those sounds because we were somehow bound to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