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파구(2014)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마태복음 25장 29절)
《돌파구》는 이 구절에서 출발한 하나의 픽션이며, 동시에 삶의 본질에 대한 회의적 고백이다. 끝내 허무와 공허로 귀결되는 삶—그 피할 수 없는 결말을 전제로, 우리는 과연 어떤 돌파구를 상상할 수 있을까. 한 남자가 있다. 그는 그저 평범해지고 싶었고, 그 바람을 위해 비현실적인 여행을 꿈꾼다. 최저시급의 일터를 전전하며 돈을 모은 끝에 떠난 유럽. 그러나 그 여정은 엉뚱한 비극으로 얼룩진다. 몽생미셸은 싱크홀에 삼켜지고, 에펠탑은 번개에 불타 쓰러진다. 여행지들은 연속된 붕괴의 장면으로 변모한다. 그에게 이번 여행은 자신의 모든 것을 내건, 마지막 ‘돌파구’였다. 이 작업은 저채도의 색감과 빛과 그림자의 강한 대비, 그리고 붓펜으로 휘갈긴 듯한 질감 있는 선들이 주요한 형식적 언어가 된다. 배경은 얼룩지고 찢겨진 종이 위로 구성되며, 이는 주인공의 내면처럼 불안정하고 위태로운 감정을 시각적으로 지지한다. 공허는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삶의 본질 그 자체일지도 모른다. “공기와 바람이 비둘기의 비행에 본질적인 것처럼” (장 보드리야르, 『대화로부터 추방된 자들』, p.134-135), 이 작품 속 허망한 사건들은 오히려 인간 존재의 무게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낸다. 《돌파구》를 통해 당신에게 묻는다. 모든 것이 무너질 때, 당신은 무엇을 돌파구라 부를 것인가? 나는 말할 수 있는 것이 없다.
Breakthrough (2014)
"For to everyone who has, more will be given, and he will have an abundance. But from the one who has not, even what he has will be taken away." (Matthew 25:29)
Breakthrough is a fiction that begins with this passage, and simultaneously, a skeptical confession about the essence of life. A life that inevitably leads to emptiness and futility—based on that inescapable conclusion, what kind of breakthrough can we even imagine? There is a man. He simply wanted to become ordinary, and to fulfill that desire, he dreams of an unrealistic journey. After moving from one minimum wage job to another, he saves enough money to go to Europe. However, the journey becomes tainted by absurd tragedy. Mont Saint-Michel is swallowed by a sinkhole, the Eiffel Tower is struck by lightning and collapses. The travel destinations turn into continuous scenes of destruction. For him, this journey was the last "breakthrough," where he staked everything he had. This work uses a subdued color palette, strong contrasts of light and shadow, and textured lines that resemble strokes from a brush pen as its formal language. The background is composed of stained and torn paper, visually supporting the unstable and precarious emotions of the protagonist’s inner world. Emptiness may not be a negative emotion, but perhaps the essence of life itself. "Just as air and wind are essential to the flight of a pigeon" (Jean Baudrillard, The Abandoned Ones, p.134-135), the futile events in this work actually highlight the weight of human existence more clearly. Through Breakthrough, I ask you: When everything collapses, what will you call your breakthrough? I have nothing to say.